MZ세대를 사로잡는 직원경험 #2. 왜 중요하지?

Human Experience
2024.11.26

지난 게시물에서는 직원경험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직원경험을 구성하는 물리적/문화적/기술적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그렇다면 이 직원경험이 대제 왜 중요한지 ! 왜 많은 기업에서 직원경험에 관심을 가지는 건지 궁금하시지 않으신가요~?


결론부터 얘기하면 긍정적인 직원경험이 결국 비즈니스 성과를 이끌어내는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차근히, 직원경험이 어떤 맥락에서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게 되었는지,

긍정적인 직원경험이 만들어내는 성과는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해요!

 

 

 

 

1) MZ 세대의 등장

워라밸은 물론,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추구하는 세대, 일한 것에 대한 정당한 물리적 보상 외에도

정서적 보상과 개개인의 커리어를 중요시하는 MZ세대가 생산 및 소비 주력세대로 부상하였습니다.
기존 세대와 다른 직업가치를 가진 MZ세대들이 기업구성원 중 점차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유능한 MZ세대 인력을 이끌어오기 위해서는

이들이 생산성을 발휘하고 즐겁게 일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만드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겠죠?

 

 

 

 

2) COVID19 & 주 52시간제 등 근로환경의 변화

주 52시간제로 인해 짧은 근무시간 내에 조금 더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근무방식의 혁신이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았는데요
이와 더불어 코로나 상황까지 장기화되면서, 근무방식의 유연성과 효율성, 일하는 방식의 혁신이 더욱 필요해졌습니다.

비대면/대면 환경에서의 소통, 효율적 업무방식, 물리적/심리적 안전감이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게 된 것이죠.

 

 

 

 

3) 기술의 변화

기술의 발전이 있었기에, 비대면교육/화상회의처럼 비대면 환경에서의 업무가 가능해졌고,

현 시점에서 재택근무도 활성화될 수 있었죠.

또한, 신기술은 이전보다 높은 퀄리티의 상품/홍보물/서비스의 생산을 가능하게 해주고,

리되어 있던 정보들을 통합해주고,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할 수 있게 해주었죠
이렇게 무궁무진한 신기술을 원하는대로 사용할 수 있다면 아주 만족도가 높겠지만, 반대로 우리 회사에서는

아직도 오래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 상대적 박탈감, 즉 부정적인 직원경험이 될 수 밖에 없겠죠?

은 조직문화와 보상도 중요하지만 현 시대에서는 '기술적' 환경이 더더욱 개개인에게 중요한 직원경험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물론, 기술적 환경과 더불어, 기술적 환경을 적재적소에 잘 활용하는 문화적 DT역량도 중요해졌구요.

 

 

 

                                                                                                                                                                               

 

 

왜 직원경험 향상을 위한 환경을 구축해야 할까요?

 

 

'아니, 직장이 일하는 곳이지 편하려고 다니는 곳은 아니잖아요?!

원들 편하게 해주기 위해 그렇게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건가요?!'

 

 

 

NO NO 아니죠! 단순히 그 이유였다면 '비즈니스 성과/매출'을 중요시하는 많은 기업에서

직원 경험에 그토록 신경쓰는 일은 없을거에요. 그렇다면 왜 중요한걸까요?
조직의 목표는 결국 고객 가치를 향상시켜 긍정적인 고객경험을 만들어 냄으로써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그 고객경험은 누가 만들어내나요? 바로 우리 조직의 구성원들이죠.

따라서 우리 구성원들에게 내부의 문제들과 부정적인 경험들로부터 오는

'비효율'을 없애주고 가장 '잘' 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긍정적인 직원경험은 조직에 대한 애착과 직무몰입을 높이고 이는 곧 생산성과 조직효과성을 만들어냅니다.

은 인재들을 끌어오기도 하고요. 유능한 인재들이 즐겁게, '내 일처럼', 좋은 환경의 서포트를 받아 업무를 수행할 때,

좋은 서비스가 나오고 좋은 제품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향상된 고객경험은 자연스럽게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밖에 없죠

 


에이, 이론상으로만 그런 것 아냐? 정말 직원경험이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까? 하시는 분들이 계실까봐!
실제 연구 결과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직원경험을 관리하면 어떤 비즈니스 효과가 있을까요?

 

 

Airbnb, Facebook, Google 등 267개 기업을 대상으로 직원경험의 성과를 분석한 Jacob Morgan 연구에 따르면,

직원경험이 잘 구축된 조직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4.3배 생산성이 더 높으며,

혁신적인 기업/일하기 좋은 기업으로 6배 더 자주 언급되어 능력 있는 인재를 유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BM사에서 45개 국가 총 23,07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서도 직원경험관리지수가 높은 경우

기업의 총자산 이익률은 3배, 매출액수익률은 2배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한, 직원경험이 관리되지 않고 있는 기업에서는 직원경험이 잘 구축된 회사에 비해

퇴사 의사가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많은 연구에서, 그리고 여러 기업에서 이야기하듯이 긍정적인 직원경험은 더 나은 업무 성과를 장출해내고 우수 인
력의 고용 유지의 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기업의 비즈니스 성과까지 창출하는 '필수 과제가 된 것이죠

 

 

 

 

 

자, 어떠신가요! 더더욱 조직에서도 직원경험에 관심을 가지고, 직원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진 않으신가요~? 구축은 하고 싶은데 어떻게 구축해야 할지 막막하시다구요?

(PSI에 문의 주셔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