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청룡의 해가 밝았습니다.
새로운 한 해가 시작되면 많은 사람들이 계획을 세우는데요.
새해 목표는 모두 다르겠지만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마음은 같을 겁니다.
여러분은 지난 해 세운 목표를 달성하셨나요?
지난 해 계획 대비 실제 얼만큼 달성했는지 묻는 여론조사에서,
전반적으로 연초에 세운 계획을 목표한 만큼 달성한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시작을 기대하며 목표와 계획을 세우지만
만족할 만큼 달성하기란 쉽지 않다는 의미일 텐데요.
만약 내가 목표한 바를 이룰 수 있도록 누군가 도와준다면 어떨까요?
목표 대비 달성도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주고 더 나아가 달성하면 상도 받게 된다면요?
아마도 자신이 세운 계획을 더 잘 실천할 수 있지 않을까요.
구성원 스스로가 목표를 향해 즐겁게 한걸음 씩 나아갈 수 잇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
PSI COMPASS가 지향하는 즐겁게 성장하는 문화는 여기서부터 출발합니다.
즐겁게 성장하는 문화는 어떻게 만들어가지는 궁금하지 않으세요?
출처: 한국리서치 (2023). '연말결산 2023년 한 해 평가' 재구성
우리는 구성원들이 왜 성장하고자 하는지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성장의 이유는 저마다 다르겠지만, 누구나 전문성을 향상시켜 성과를 창출하고자 하는
열망은 조금씩 품고 있을 텐데요.
우리의 역할은 이들의 열망을 실현시켜 주고 구성원의 육성과 성장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성장 이유를 탐색했다면, 자기주도적 학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개인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강화시켜 지식과 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원리와 학습 모형에 기반한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구성원 스스로 자신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며,
자기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개인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습니다.
조직과 리더는 구성원이 성장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실천하도록 지원 및 동기부여 하는
육성 책임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구성원 스스로도 전문성 향상의 일차적 책임이 본인 스스로에게 있다는 것을 아는 것도 중요하겠죠.
PSI COMPASS는 성장 문화 조성의 핵심 요소로 세 가지를 강조합니다.
첫째, 리더의 코치 역할을 촉진하라.
● 리더가 구성원 육성에 책임감을 갖고, 성장 관점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질문하고 제안하며,
성찰의 시간을 제공해야 합니다.
● 리더가 코치 역할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제도와 교육을 통해 강조할 필요가 있습니다.
리더에게 코칭 교육을 시행하고 피드백 수준을 평가하여 KPI 또는 역량평가 항목으로 반영하는 등
강제성을 부여할 수도 있습니다.
둘째, 현업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하라.
● 현업에서 이뤄지는 학습 매커니즘에 집중하여 학습 목표와 내용을 구체화 하고 구성원 스스로 필요로 하는
교육의 적정 단계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 현업에서 추천하거나 효과적이라고 평가하는 교육을 선별하여 로드맵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업 의견에 따라 교육과정이 보완되도록 운영하거나 학습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도화 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셋째, 성장을 돕는 시스템을 구축하라.
● 구성원의 니즈가 점차 다양해지고 시대가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조직 특성 및 현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학습 내용과 방식을 인정해야 합니다.
● 연간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학습이 일상에 녹아 들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습 몰이도를 증진할 수 있도록
리더의 역할 및 다양한 지원 제도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며, 구성원/리더/HR 관점에서
시스템 화면을 구축하면 효과적 입니다.
선진기업들을 최근 비용 대비 교육 효과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핵심 인재가 이탈되지 않고
전문가로 성장하게 하는 사내 학습 문화 조성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조직마다 생각하는 문화는 다를 수 있어도 자기주도적 학습이 중요하다는 것은 모두 공감하고 있다는 뜻이겠죠?
PSI COMPASS는 구성원의 열망을 실현하고자 하는 여러분을 응원하겠습니다!
인재들이 즐겁게 성장할 수 있는 문화를 함께 만들어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