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썰] SER‑M 모델로 살아남기 💡

HR Insight
2025.4.23

[경영 썰] SER‑M 모델로 살아남기 💡

한줄 요약: ‘누가(Subject)∙어디서(Environment)∙무엇으로(Resource)’만 챙기면 끝? 아니요! 어떻게(Mechanism) 가 빠지면 초경쟁 시대엔 바로 아웃.


SER-M Model

SERM

🚀 1. 지금 기업에 무슨 일이?

  • 오늘 1등, 내일 2등으로 밀려나는 하이퍼 경쟁 시대.

  • 구글·야후·GM… 한때 잘나가던 곳도 방심하다 순식간에 자리 내줬죠.

  • 경영자들: “매출·이익 오래~ 꾸준히 나올 묘수 없을까?”

🔍 2. S·E·R, 여기까지는 알죠?

시대 키워드 포인트
1930s   S = Subject (주체)   리더가 게임 체인저 🧑‍💼
1970s   E = Environment (환경)   돈 되는 시장 먼저 잡아라 🌍
1990s   R = Resource (자원)   남이 못 베끼는 자원 확보 🛠️

하지만! 세 키워드를 다 모아도 성과가 안 터질 때가 많았어요. 왜냐고요? ‘조합법’ 이 빠졌거든요.

🧩 3. M(메커니즘)이 왜 필요해?

  1. S·E·R → M : 세 요소를 어떤 논리로 연결하느냐가 관건!

  2. M → Process → Performance : 잘 짜인 메커니즘이 프로세스를 돌리고, 그게 곧 매출·이익으로 직결.

  3. 점선은? S·E·R가 직방으로 성과에 스치긴 하지만, 임팩트는 약해요.

🛠️ 4. CPT 레시피로 메커니즘 설계하기

라면 맛집 공식 기억나요? 재료 조합(Combination) → 투입 순서(Permutation) → 끓이는 시간(Timing).

경영도 똑같아요!

단계 질문 예시
C   뭘 섞지?   인재, 기술, 자본, 데이터…
P   순서는?   ‘데이터 기반 기획 → AI 개발 → 마케팅’ 등
T   타이밍은?   시장 붐업 직전 선제 투자 등

✨ 5. 실무에 바로 써먹기

  1. 내부 탐색: 우리 조직만의 반복 패턴(=메커니즘) 찾아보기.

  2. CPT 점검: 조합·순서·시간 최적화 → 병목 제거.

  3. 파일럿 실행: 작은 팀에서 A/B 테스트, KPI 체크.

  4. 전사 확산: 효과 입증 땐 전사 프로세스로 내재화.

🤔 So What?

  • 재현성: 우연 NO, 언제든 복붙 가능한 성과 엔진.

  • 적응성: 시장 바뀌면 M 재설계 → 바로 대응!

  • 스케일: ‘리더 개인기’ → ‘조직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

 

👀 오늘의 질문 (by. 경영이)

  1. 우리 팀 S·E·R 중 가장 취약한 축은 뭘까요?

  2. 지금도 돌아가는 ‘암묵적 메커니즘’이 있다면 무엇인지 떠올려보세요.

  3. CPT 중 어느 단계(조합·순서·시간)를 먼저 손보면 효과가 가장 클까요?


📝 에디터 노트

SER‑M은 **‘무엇’**보다 **‘어떻게’**를 묻는 프레임입니다. S·E·R 위에 나만의 M을 세팅하면, 초경쟁시장에서도 긴 호흡으로 달릴 수 있어요.
이제, 여러분의 M은 무엇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