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의 기본 '자기 경영'

Leadership
2024.4.17

 

경영의 기본 '자기 경영'

 

 

Management

경영학 측면에서 우리는 '경영, 관리, 운영'으로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로 경영학의 대가 '피터 드러커 박사'입니다.

GE를 비롯하여 수많은 성공적인 글로벌 기업의 CEO가

존경하는 인물이며, 풀무원, 유한킴벌리 등

국내 기업의 CEO 및 경영전문가들의

배움과 존경의 대상이 되었던 인물입니다.

'경영'에 대해 가장 괄목할 만한 전문성과 통찰을 보여주는

피터드러커가 가장 강조하는 기본은

바로 '자기 경영(On Managing Yourself)'입니다.

 

 

 

피터드러커는 작든 크든 기업을 경영하거나

기업에서 성장하기를 바란다면

자기 경영을 통해 삶의 원칙을 확립하고 실천해야함을 강조하였습니다.

또한 리더는 자기의 강점을 발견하고 그 강점을 활용해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성공적인 리더가 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결국 모든 개인과 기업의 성과(목표)를 창출하거나

달성하게 하는 기본은 '자기 경영(On managing Yourself'이며,

따라서 리더는 자기 스스로를 먼저 올바르게 경영하고자하는

마인드 셋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습니다.

 

 

피터드러커는 더 나아가 자기를 경영(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라면 자기 스스로를 잘 경영하고 있는지

측정을 통해 객관화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함을 강조하였습니다.

"측정할 수 없는 것은 관리할 수 없고,

관리할 수 없는 것은 개선할 수 없다."

- 피터드러커(Peter Drucker)

 

 

개인의 '자기 경영'을 돕기 위해서,

조직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반드시 측정해야 합니다.

기준(지표)를 세워 측정하고, 지속적으로 관리(모니터링)해야만

올바른 경영(관리, 운영)이 가능합니다.

 

 

리더라면, 리더십/역량에 대한 셀프/다면 진단을

팀이라면, 팀효과성 진단을

조직이라면 조직 건강도 진단을

정기적으로 실행해보면서

지속적인 측정을 통한 점검과 관리를 실행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구글이 좋은 팀 매니저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꾸준한 진단(피드백)과 이에 대한 개발지원을 실행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입니다.

 

Google

[1] 인력자원부에서 매년 매니저(관리자)에 대해 360도 피드백(진단)을 진행

[2] 다면 피드백(진단)을 통해 자신의 부족한 부분은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계획을 수립

[3] 인력자원부에서는 어떻게 도움(지원)을 줄지 계획을 세워 지원

 

 

경영학의 대가 피터드러커가 강조한

자기 경영을 위한 지속적 측정과 관리!

PSI 컴파스가 도와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