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경영③ : 기업 성공의 숨겨진 열쇠, 메커니즘 기반 관점(MBV) (연재 3/5)
(AI시대 경영② 요약)
두 번째 글에서는 AI 시대의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의 현재 위치를 진단하고 미래 방향을 설정하는 나침반으로서 SER-M 모델(주체, 환경, 자원, 메커니즘)을 소개했습니다. 특히, 기업 내부의 작동 원리인 '메커니즘'이 AI 기술의 성공적인 도입과 활용, 나아가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 확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강조했습니다.
경영 패러다임의 진화: 자원을 넘어 메커니즘으로
20세기 후반 경영 전략의 주류 이론은 기업의 경쟁 우위 원천을 외부 환경 분석이나 내부 자원 보유에서 찾으려 했습니다.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로 대표되는 산업 구조 분석(Environment-Based View)은 매력적인 산업을 선택하고 그 안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는 것을 강조했습니다[*6]. 이후 제이 바니(Jay Barney) 등이 제시한 자원 기반 관점(Resource-Based View, RBV)은 기업이 보유한 가치 있고, 희소하며, 모방하기 어려운 자원(VRIN 자원)이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의 핵심이라고 주장했습니다[*5]. 이러한 관점들은 오랫동안 경영 전략 수립에 큰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하지만 AI 기술이 범용화되고 시장 환경이 예측 불가능할 정도로 급변하는 오늘날, 단순히 유리한 환경에 있거나 좋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더 이상 장기적인 성공을 보장받기 어렵습니다. 기술은 빠르게 모방되고, 시장의 경계는 끊임없이 허물어집니다. 이제 중요한 질문은 "무엇을 가지고 있는가?"가 아니라, "가진 것을 어떻게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하고 변화에 적응하는가?"입니다. 바로 이 "어떻게"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메커니즘 기반 관점(Mechanism-Based View, MBV)**입니다[*1]. MBV는 기업 성공의 핵심 동력이 눈에 보이는 자원이나 환경 요인 그 자체가 아니라, 이러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성과를 만들어내는 보이지 않는 내부 작동 방식, 즉 메커니즘에 있다고 봅니다.
메커니즘(Mechanism) 심층 탐구: 보이지 않는 경쟁력의 실체
메커니즘은 SER-M 모델의 네 번째 구성 요소이자 MBV의 핵심 개념으로, 기업이라는 시스템이 특정 목표를 향해 움직이게 하는 내재적 원리입니다. 이는 공식적인 프로세스나 시스템뿐만 아니라, 조직 문화, 리더십 스타일, 의사결정 방식, 학습 및 지식 공유 방식,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패턴 등 비공식적이고 암묵적인 요소까지 포괄합니다.
-
메커니즘의 속성:
-
인과적 모호성 (Causal Ambiguity): 성공적인 기업의 메커니즘은 외부에서 관찰하거나 분석하기 매우 어렵습니다. 어떤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뛰어난 성과를 내는지 명확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쟁자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강력한 경쟁 우위의 원천이 됩니다. (예: 도요타 생산 시스템(TPS)의 핵심 원리는 알려져 있지만, 이를 성공적으로 복제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
경로 의존성 (Path Dependence): 메커니즘은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기업의 역사, 경험, 성공과 실패의 학습 과정 속에서 형성됩니다. 따라서 한번 구축된 메커니즘은 관성(Inertia)을 갖게 되어 쉽게 바뀌지 않으며, 과거의 결정이 미래의 선택지를 제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을 제공하기도 하지만,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
시스템적 특성: 메커니즘은 개별 요소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는 시스템(System)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특정 메커니즘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다른 메커니즘과의 관계 및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
성공 기업들의 DNA: 강력하고 차별화된 메커니즘
첨부된 강의 자료는 초일류 기업들의 성공 사례를 MBV 관점에서 분석하며, 그들의 성공 뒤에는 강력하고 차별화된 메커니즘이 있었음을 보여줍니다[^1].
-
삼성전자 반도체: 단순히 우수한 인력과 자금력(R), 또는 시장 환경 변화(E)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삼성의 성공 신화 뒤에는, '신속한 의사결정 및 과감한 투자', '목표 달성을 위한 치열한 내부 경쟁 유도', '기술 개발 실패를 용인하고 학습 기회로 삼는 문화', '성과에 대한 확실한 보상 시스템' 등 독특한 메커니즘(M)이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는 빠른 기술 변화 속에서 후발주자가 선두주자를 따라잡고 추월할 수 있게 만든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
포스코: 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한 포스코의 성공은 박태준 회장의 리더십(S)과 정부 지원(E), 우수 인력(R) 외에도, **'제철보국(製鐵報國)이라는 강력한 사명감 공유', '일사불란한 상의하달식 조직 운영', '책임감 있는 과업 완수 문화'**라는 초기 메커니즘(M)이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후 시대 변화에 맞춰 '고객 중심 사고로의 전환', '기술 혁신(예: 파이넥스 공법)을 통한 경쟁력 강화', '구성원의 창의성 존중' 등으로 메커니즘을 성공적으로 진화(M')시킨 것이 지속 성장의 비결이었습니다.
-
GE (잭 웰치 시대): 잭 웰치는 GE의 성장을 이끈 핵심 요인으로 유형 자산이나 시장 지위가 아닌, GE 특유의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과 **학습 메커니즘(Learning Mechanism)**을 꼽았습니다. 'Work-out(업무 개선 프로그램)', 'Six Sigma(품질 혁신)', 'Session C/D(인재 관리 및 전략 검토 프로세스)', '벽 없는 조직(Boundaryless Organization)' 등은 GE의 경쟁력을 끊임없이 강화시킨 핵심 메커니즘(M)이었습니다. 특히 그는 서로 다른 사업부 간의 **'지적 교류 메커니즘(Intellectual Exchange Mechanism)'**을 통해 아이디어와 성공 사례가 조직 전체로 확산되고 학습이 일어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이처럼 MBV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가 모방하기 어려운 독특한 내부 메커니즘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하며, 전략의 초점을 외부 환경이나 자원 확보에서 내부 역량 구축 및 메커니즘 혁신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합니다.
AI 시대, 메커니즘 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
AI 기술은 기업의 메커니즘을 근본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데이터 기반 메커니즘: AI를 활용하여 조직 운영의 모든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메커니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된 프로세스 메커니즘: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AI로 자동화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인간은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하는 메커니즘을 만들 수 있습니다.
-
지능형 학습 및 적응 메커니즘: AI를 통해 시장 변화, 고객 피드백, 내부 운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략과 운영 방식을 신속하게 조정하는 자기 학습 및 적응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결국 AI 시대의 진정한 승자는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기업이 아니라, AI를 활용하여 자사만의 독특하고 강력한 **'AI 기반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끊임없이 진화시키는 기업이 될 것입니다.
AI시대 경영④ 미리보기
메커니즘 기반 관점(MBV)을 통해 기업 성공의 숨겨진 비밀과 AI 시대 메커니즘 혁신의 중요성을 깊이 있게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MBV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 특히 자원이 부족한 약자가 강자를 상대로 승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 원리를 제시하는 **비중-순서 모델(Weight-Sequence Model, WSM)**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자원의 '비중(Weight)' 배분과 실행의 '순서(Sequence)' 배열을 어떻게 조합해야 경쟁 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지, 손빈의 경마 전략, 이순신 장군의 해전, 베트남 전쟁 등 흥미로운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 WSM의 지혜를 탐구해 보겠습니다.
주석
[*1]: 조동성 (2025). AI시대의 경영전략 강의 자료, 서울과학종합대학원.
[*5]: Barney, J. (1991). Firm resources and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nagement, 17(1), 99-120.
[*6]: Porter, M. E. (1980). Competitive Strategy: Techniques for Analyzing Industries and Competitors. Free Press.